_

Always be tactful

전체 글 93

비즈니스 로직이니까 서비스에 있어야 한다고?

비즈니스 로직, 무조건 서비스에 두어야 할까?도메인 주도 설계(DDD)를 공부하다 보면 흔히 맞닥뜨리는 질문이 있다."비즈니스 로직이면 원래 서비스 레이어에 두는 거 아닌가?" 이 질문은 언뜻 맞는 말처럼 들리지만, 사실 절반만 맞는 말이다. 이 글에서는 비즈니스 로직의 위치에 대해 하나씩 짚어보며, 헷갈릴 수 있는 지점들을 정리해본다.서비스에 로직을 두는 게 맞는 경우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비즈니스 로직을 서비스 레이어에 두는 것이 자연스럽다.여러 도메인 객체 간의 상호작용이 필요한 경우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이 포함되는 경우 (예: 메일 전송, 결제 API 호출 등)도메인 객체 내부에 두기엔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경우예를 들어, "예약을 저장하고, 알림도 보내고, 결제도 트리거하는 흐름"이라면 이는 하나의 ..

DDD에서는 private을 지양한다?

DDD에서는 private을 지양한다?객체지향에서는 정보를 감추라고 하는데, 도메인 주도 설계에서는 왜 자꾸 public을 강조할까? 들어가며객체지향에서는 이렇게 배운다."메서드와 필드는 최대한 감춰라.""캡슐화를 통해 객체의 내부 구현을 보호해야 한다."그런데 도메인 주도 설계(DDD)를 공부하다 보면 이렇게 말한다.“비즈니스 규칙은 숨기지 말고, 드러내라.” 그럼 결국, private 쓰지 말라는 건가?헷갈릴 수밖에 없다.도메인 개념은 감추지 말고 드러내야 한다스케쥴을 체크하는 것은 꽤 중요한 도메인 개념이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메서드를 외부에 열어주는 게 좋다.public boolean isSchedulable(LocalDateTime start, LocalDateTime end) { r..

도메인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 메모

도메인 로직(Domain Logic)도메인의 규칙과 행위 자체를 다루는 로직비즈니스의 본질적인 규칙들 (예: "환자가 같은 시간에 두 번 예약할 수 없다", "의사는 하루에 최대 20명만 진료 가능하다")Entity나 Value Object 안에 담기는 게 일반적변화 가능성은 낮고, 오히려 잘 구조화하면 유지보수성이 높아짐 비즈니스/애플리케이션 로직(Application Logic)요청 흐름을 제어하거나 유즈케이스 단위로 처리하는 로직예: "예약 요청을 받아서, 예약 가능한지 확인하고, 저장하고, 결과를 반환한다"보통 Service 계층에서 구현도메인 로직을 조합하고 orchestration 함도메인 모델은 이 시스템이 어떤 규칙을 가지는지 에 집중하고,애플리케이션 계층은 그 규칙을 언제, 어떻게 실행할..

DTO와 관련한 짧은 메모

record란 무엇인가? record는 자바 14부터 도입된 클래스의 일종이다. 따라서 내부적으로도 final class로 컴파일된다.즉, record는 불변 객체를 간편하게 만들기 위한 클래스의 축약 문법인 것이다!record 선언을 통해 자동 생성되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모든 필드 private final 선언- 생성자- Getter (필드명과 동일한 이름의 메서드)- equals() / hashCode()- toString()요즘엔 DTO를 record로 선언한다. 사실 DTO는 필드를 외부에 노출하고, 읽기만 하는 경우가 많다.그래서 불변성 + 간결함을 모두 가진 record랑 찰떡궁합이라고 볼 수 있다!DTO 클래스 이름 짓기는 어떻게? 이름 짓기라는 게 사실 스타일 차이라서 어떤 게 맞다고..

[🦁3] 객체 지향 설계: OOP

시청할 것우아한객체지향이번 주 키워드 정리상속(Inheritance) vs 조합(Composition)1. 상속(Inheritance)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자식 클래스가 물려받는 방식코드 재사용성이 높지만, 부모 클래스에 종속되어 강한 결합(High Coupling) 발생부모 클래스가 변경되면 자식 클래스에도 영향을 미쳐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음2. 조합(Composition)기존 클래스를 포함(Has-A 관계)하여 기능을 재사용하는 방식강한 결합을 피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유연성이 높음상속보다 유연하며, 런타임 시 객체를 변경할 수도 있음🚀 언제 사용해야 할까?상속: 명확한 "is-a" 관계(예: Car is a Vehicle)조합: 유연한 "has-a" 관계(예: Car has..

드래그 방지 해제하기

어, 승준이형이야. 가끔 공부하다 보면 다른 사람 블로그에서 코드 참고할 때 있지?쓰라고 해놓고, 정작 드래그를 막아놔서 복사할 수가 없는 이상한 블로그들이 있어. 크롬 기준이고, 3초면 해결하니까 이번 기회에 알아두자.1. 개발자 도구 열기 (F12, Ctrl + Shift + I)단축키가 같은진 모르겠어.우측 상단에 점 세 개 있는 거 누르고 `도구 더보기` → `개발자 도구` 순으로 찾아서 열어도 돼. 2. Settings 접근하기 (F1)우측 상단에 톱니바퀴 눌러도 돼. 3. JavaScript 해제하기쭉 내려서 Debugger 블록 찾고, `Disable JavaScript` 체크하면 끝이야.원래는 코드를 찾아서 수정해줘도 되는데, 우린 귀찮으니까 그냥 자바스크립트를 해제하고 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