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

Always be tactful

REST 2

RESTful API에서 '응답 설계'가 반이라고?

ResponseEntity응답 설계 핵심 도구우리는 ResponseEntity에 대해 왜 알아야 할까?이유는 간단하다.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HTTP 응답을 정교하게 제어하기 위한 핵심 도구이기 때문이다.단순한 "값 반환"이 아니라, HTTP 상태 코드, 헤터, 본문까지 직접 다룰 수 있다. 1. RESTful API에서 '응답 설계'는 감히 절반이라 할 수 있다.REST는 HTTP 자체를 프로토콜로 삼는다.응답에 상태 코드, 헤더, 본문을 정밀하게 제어해야 하며, 이걸 직접 제어하는 대표적인 도구가 ResponseEntity다.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NOT_FOUND).body("User not found");→ 단순한 return "User not fou..

[🦁2] Web App & Spring MVC #2

이번 포스트에서는 `스프링 MVC 동작 원리와 구현`을 다룹니다.학습 순서웹 애플리케이션 기본 원리스프링 MVC 동작 원리와 구현 📍 객체 지향 설계 원칙 (다음 주 예정)📚 세부 학습 순서Spring MVC 동작 원리DispatcherServlet의 역할 & 동작 방식Controller, View Resolver와의 관계Spring MVC 요청 처리 흐름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Spring을 활용한 REST API 구현REST의 특징 (HTTP 메서드, REST 제약 조건)@RestController와 REST API 구현Spring MVC 동작 원리DispatcherServlet의 역할 & 동작 방식  Spring MVC의 핵심 컴포넌트라고 할 수 있는 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