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로직(Domain Logic)
- 도메인의 규칙과 행위 자체를 다루는 로직
- 비즈니스의 본질적인 규칙들 (예: "환자가 같은 시간에 두 번 예약할 수 없다", "의사는 하루에 최대 20명만 진료 가능하다")
- Entity나 Value Object 안에 담기는 게 일반적
- 변화 가능성은 낮고, 오히려 잘 구조화하면 유지보수성이 높아짐
비즈니스/애플리케이션 로직(Application Logic)
- 요청 흐름을 제어하거나 유즈케이스 단위로 처리하는 로직
- 예: "예약 요청을 받아서, 예약 가능한지 확인하고, 저장하고, 결과를 반환한다"
- 보통 Service 계층에서 구현
- 도메인 로직을 조합하고 orchestration 함
도메인 모델은 이 시스템이 어떤 규칙을 가지는지 에 집중하고,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그 규칙을 언제, 어떻게 실행할지 에 집중하게 된다.
https://youtu.be/gbzDG_2XQYk?si=nO9UMl6cnXY4s-6Y
'개인학습 > 자바&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DTO와 관련한 짧은 메모 (0) | 2025.04.06 |
---|---|
[Spring] OOP: SOLID 원칙 (0) | 2025.03.26 |
[Java] 제네릭과 명명 관례 (1) | 2025.03.24 |
[Java] Stream API vs for-loop: Which One is More Efficient? (1) | 2025.02.25 |
[Java] OCP (Open-Closed Principle) / 개방-폐쇄 원칙 (1) | 2025.02.03 |